반응형

백서제작 4

블록체인 P2B 거래소에서 신용카드 결제 가능

*P2B 거래소 상장 문의 리스링15 http://listing15.mcret.com/ https://open.kakao.com/o/szTmHT6d 국내 거래소는 원화마켓이 있기 때문에 케이뱅크를 통해 크게 번거롭지 않게 국내 거래소에서 원화를 사용하여 가상자산을 구매 할 수 있지만, 해외 거래소는 국내거래소에서 매수(구매) 후 해외 거래소로 보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특히 국내거래소에 등록 되지 않은 해외 거래소로는 보내지 못하기 때문에 국내거래소에서 메타마스크로 옮긴 후 다시 해외 거래소로 보내야하는 번거로움과 다중 전송으로 인한 가스비 부담도 상당합니다. 하지만 해외 일부 거래소들은 신용카드로 가상자산을 구매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불편함을 일정부분 해소 할 수 있습니다. 코인마켓캡 기준..

블록체인 2023.05.02

블록체인에서 활성화 된 디앱의 종류 그리고 체인링크 Chainlink

블록체인 개발을 하다보면, 기존에 많이 개발 된 디앱들을 참고 하면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짜내기도 하지만, 기존의 디앱을 활용해서 새로운 스마트컨트렉트 또는 웹 플랫폼 등을 만들기도 합니다. 기존에 많이 알려진 디앱과 최근 많이 활용하고 있는 디앱이 있어서 소개 해볼까 합니다. 블록체인 디앱 디앱(dApp)은 분산형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입니다. 디앱은 블록체인의 특징인 탈중앙화, 불변성, 보안성 등을 활용하여 사용자 간에 안전하고 신뢰성 높은 데이터 교환 및 거래를 가능하게 합니다. 성공적으로 개발하여 상용화 된 디앱 중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와 기능이 있습니다. Uniswap Uniswap은 탈중앙화된 거래소로서, 이더리움 기반의 토큰을 거래할 수 있습니다. Un..

블록체인 2023.04.11

블록체인에서의 PoW, PoS, PoU (블록체인 개발,거래소 상장)

블록체인에서의 PoW, PoS, PoU는 각각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PoW (Proof of Work): PoW는 일종의 합의 알고리즘으로, 블록체인에서 새로운 블록을 만드는 과정에서 노드가 수학적 계산을 통해 새로운 블록을 검증하고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즉, PoW는 채굴(Mining)을 통해 블록을 생성하며, 이를 위해 대량의 컴퓨팅 파워를 사용합니다. PoW는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채굴 작업으로 인해 네트워크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지만, 대량의 전기 에너지를 소모하기 때문에 환경 문제도 일으킬 수 있습니다. PoS (Proof of Stake): PoS는 블록체인에서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 노드가 일정한 가치의 암호화폐를 보유해야 하는 방식입니다. 즉,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서..

블록체인 2023.03.19

블록체인 백서 작성 요령, 암호화화폐 백서, 코인 거래소 상장

저희는 2년 동안 약 20개의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암호화 거래소에 상장 시킨 경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금 까지 프로젝트 지원을 하면서 가장 많은 문의가 있었던 백서와 백서 작성 요령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자신만의 암호화화폐 또는 사업체에서 발행한 암호화화폐를 거래소에 상장 시키기 위해서는 거의 대부분 필수적으로 백서와 홈페이지가 구비 되어야합니다. 암호화화폐 또는 암호화프로젝트 백서라는게 만들기 어려워 보이지만 쉽습니다. 백서라는게 사업계획서와 같다고 보면 됩니다. 백서 : 특정 주제와 이를 둘러싼 문제에 대한 심층 보고서 또는 가이드 입니다 . 즉, 프로젝트에 대한 소개 그리고 기존 문제점의 해결 방안과 가이드 라인 정도로 작성하면 됩니다. 백서가 프로젝트 운영에 매우 중요하지만, 백서 외 별도의..

블록체인 2023.03.17
반응형